본 문서는 Korean A Lang & Lit 과목 Group 1 – Category 3 에서 최종 점수 A (30/34)를 받은 EE입니다. 제목은 ‘의학 드라마에 나타난 의료종사자와 병원에 대한 인식 연구’ 이며 research question은 ‘의학 드라마에서 서사적 요소와 영상 언어는 의료종사자와 병원을 어떻게 그리고 있는가?’ 입니다. 본 연구는 TV드라마 <하얀 거탑>과 <슬기로운 의사생활 1>을 중심으로 진행되었습니다.

 

[Table of contents]

 

[Sample excerpts]

I. 서론

텔레비전을 매체로 하는 드라마는 등장인물들이 벌이는 갈등과 갈등의 해소를 스토리텔링하는 영상 프로그램이다. 드라마는 인물과 갈등이라는 서사 구조를 언어텍스트와 함께 배우의 연기, 구도, 영상 효과 등 다양한 시각적 요소를 통해 표현한다. 드라마는 언어적 측면에서 서사 문학의 특징을 유지하면서도 비언어적 요소인 영상 언어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텍스트들과 차별화된다. 드라마는 인물의 행위와 대사를 통해 인물의 성격과 사고를 형상화하고, 첨예한 갈등을 중심으로 사건을 진행시키는 문학의 서사 구조를 갖추고 있다. 이와 동시에 시각 매체의 특성으로 인하여 공간적 배경이나 인물의 감정을 영상 언어를 통해 보다 직접적인 방식으로 전달하는 것이 특징이다. 드라마는 서사 문학이 가지는 이야기의 힘을 영상 언어로 효과적으로 구현하며 현대 대중매체 시대에 가장 영향력 있는 장르로 자리 잡았다.

드라마는 시의성을 특징으로 하며 대중과 소통하며 발전해나간다. 드라마의 전체적 줄거리 또는 디테일들은 당시의 시대상과 사회공동체의 흐름을 반영한 복합적인 상호작용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드라마의 주제는 시대와 대중의 관심에 따라 다양하다. 이 가운데 공통된 인물 유형과 배경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마를 하위 갈래로 묶어 ‘장르 드라마’라고 한다. 의학 드라마는 장르 드라마의 대표적인 유형으로 시대에 따라 끊임없이 재생산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1980년 방영된 KBS 1TV 주간극 <소망>이 첫 의학 드라마 작품이다. 1990년대 의학 드라마 붐을 일으킨 <종합병원>(1994)와 <해바라기>(1998)을 거쳐 2000년대 이후 <외과의사 봉달희>(2007), <뉴하트>(2007), <굿닥터>(2013) 등으로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 Total number of pages: 28 pages
  • Subject: Extended Essay (Korean A)
  • Topic: 의학 드라마에 나타난 의료종사자와 병원에 대한 인식 연구
  • The file is in PDF format.